개혁신학

사순절 폐지

킹덤데이비드 2024. 3. 19. 11:50

항상 이맘때면 사순절에 대한 논란이 계속 이어지는 것 같습니다. 사순절에 대해 제대로 알고 있습니까? 이번 포스팅에서는 사순절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번 포스팅으로 사순절에 대한 이해가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사순절과 종교개혁
사순절과 고신교회 칼럼 바로가기

 

사순절과 종교개혁
사순절과 종교개혁 1

 

 

 

 

 

 

 

 

사순절과 종교개혁사순절과 종교개혁
사순절과 종교개혁 2

 

 

사순절

▶ 사순절이란?

 

사순절이란 부활절 전 40일 전을 의미한다. 그리스어로 40일 의미하는 '테라사라코스티'의 번역 단어입니다. 영어로 사순절은 Lent이고, 봄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사순절의 의미는 부활절 전 40일간을 경건하게 지내면서 예수님의 수난을 생각하면서 성경을 읽고 기도를 하면서 다른 일상과 조금 다른 의미를 가지려고 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사순절과 종교개혁사순절과 종교개혁
사순절과 종교개혁 3

 

 

그래서 이 기간동안 금식, 단식 등을 하면서 예수님의 고간에 동참하는 교인들이 많습니다. 요즘은 미디어가 많이 발달하여서 미디어금식도 이때 하기도 합니다. 325년 제1차 니케아 공의회에서 부활절 일자를 확정하고 각 종파와 교단마다 사순절을 보내는 행위에 대한 규정을 정하여 규정에 따라  실천하고 있습니다. 사순절의 규정에 따라 유럽에서는 생선을 기피하는 식습관도 생겨났다고 하지요.

 

 

 

 

개혁주의 입장

 

 

 

 

 

사순절에 대한 입장은 교파마다 다릅니다. 이를 교인들은 잘 구분하지 못하고 일반적으로 사순절을 지키는 사람들이 많은 것 같습니다. 특별히 개혁주의 입장에서 사순절은 이미 폐지된 지 오래 되었는데 예장합동교회임에도 불구하고 사순절을 지키는 교회가 있습니다. 개혁주의를 따르는 예장합동의 입장은 어떤 것일까요? 왜 개혁주의를 지향하는 보수주의 교단에서는 사순절을 지키지 않을까요?

 

사순절과 종교개혁사순절과 종교개혁
사순절과 종교개혁 4

 

복음주의 교회는 종교개혁이 폐지한 사순절은 지키지 않는 것으로 받아드리고 있습니다. 그래서 예장합동은 1999년 9월 제 84회 합동 총회에서 사순절을 지키지 않는 것으로 결의한 바 있습니다. 그래서 예장합동교단은 사순절을 지키지 않습니다. 교회는 교회력을 따르기 때문에 로마가톨릭이 만든 사순절은 절기화 하기 않는 것입니다. 조리된 본성을 가지고 있는 사람에게 이런 의식적인 절기를 지키는 것은 행위 공로에 대한 오해가 있으므로 지키지 않는 것입니다. 

 

 

 

 

 

 

칼빈은 사순절에 대해 이렇게 이야기 했습니다. 로마가톨릭의 사순절은 미신적으로 시행되고 금식이 하나님께 예배가 된다는 것과 행위 공로적인 부분 때문에 완전 폐지를 주장하였다. 그리고 교회가 사순절을 절기고 받아들이게 된다면 로마가톨릭의 절기들도 받아들이지 않을 수 없게 된다. 그러면 많은 신자들이 혼란을 겪게 될 것은 뻔한 사실이다. 지금도 합동교단의 교회에서 사순절이란 용어를 예배 때나 기도가운데 사용하는 것을 보면 잘 알 수 있습니다. 

 

사순절과 종교개혁사순절과 종교개혁
종교개혁자들의 입장

 

 

그래서 예장 합동 총회에 속한 교회는 종교개혁이 폐지한 사순절은 한국교회가 받아들이고 지킬 필요가 없습니다. 이미 우리는 고난주간 지키면서 예수님의 수난에 동참하면서 부활의 참의미에 대해 깊이 묵상하면서 지내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종교개혁자들은 수많은 절기들을 폐지하기 위해 많은 노력들을 했습니다. 루터는 로마가톨릭의 수많은 절기들을 보면서 '우리에게 유일한 절기날은 주의 날이라 되어야 할 것이다'라고 하면서 애석하기도 했다고 합니다. 

 

  

 

초대교회 모범

 

 

 

 

 

초대교회사에서 사순절 절기에 대한 기록은 찾아볼 수 없습니다. 사순절을 언급한 것은 325년 니케아공의회에서였습니다. 이것이 발전하여 로마가톨릭에서 부활절 전날 밤까지 40일간 이어지는 기간을 사순절이라는 명칭으로 절기를 만들어 지키게 된 것입니다. 이것이 발전하여 영국의 성공회, 루터교, 로마교회가 지키고 있는 것입니다. 여기에 몇몇 개신교도 지키고 있습니다. 

 

사순절과 종교개혁사순절과 종교개혁
사순절과 종교개혁

 

 

초대교회 유일한 날과 절기는 '주의 날'이었습니다. 이를 따라 네덜란드는 1574년 총회에서 '오직 성도들은 주의 날만으로 만족해야 한다' 고 결정했습니다. 그리고 종교개혁자들에게는 주의 날만 있었습니다. 칼빈도 제네바에서 '주의 날'만 유일한 절기라고 주장했습니다. 

 

 

 

결론

 

 

 

 

 

우리 교회는 지금  사순절 기간입니다. 수많은 교회들이 사순절 특별 기도회를 비롯하여 여러 특별행사들을 하고 있습니다. 사순절 마지막 주간인 고난주간에도 특별새벽기도회나 저녁기도회를 합니다. 이런 고난의 시간을 보내고 나면 감동적으로 부활절을 맞이할 수 있습니다. 겉으로 보기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어 보입니다. 요즘같이 의미와 명분을 중시하는 시대에는 더욱 사순절 절기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할 수 있습니다. 

 

사순절과 종교개혁사순절과 종교개혁
사순절과 종교개혁 7

 

그러나 교회는 하나님의 몸입니다. 머리 되신 하나님의 말씀에 따라 교회는 모든 일의 시작과 끝이 되어야 합니다. 사순절이란 의미에서 우리가 의미를 부여하려고 하지만 그 의미 속에 인간의 타락한 본성에서 파생되는 인간의 욕망과 욕구들이 숨어져 있다는 사실도 알아야 합니다. 과거로 올라가면 여기에도 돈과 관련되어 사람이 죄를 사해주고 대가로 받는 돈이 개입합니다. 

 

 

초대교회 성전에서 성전세를 바꾸어주며 이득을 취하는 불량배들과 그 뒤에서 검은돈을 받아서 성전을 이용해서 자신의 배를 불리고 있던 대제사장들과 종교지도자들 이런 잘못된 습관들이 지금 현재 교회에도 뿌리내려 있을 수 있습니다. 그 의미보다 형식을 강조하다 보면 자칫 변질될 우려가 있으므로 종교개혁자들이 그러했듯이 개혁주의 교회는 사순절 절기를 교회에서 확실하게 폐지하고 정리해야 합니다. 이를 프로그램으로 도입해서는 절대 안 될 것입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칼빈의 개혁 운동, 제네바에서 시작된 교회 혁명" 시리즈

10월 31일 종교개혁을 앞두고 칼빈의 역사를 떠올리는 시점입니다. 한국교회는 변화와 혁신의 필요성을 깨닫고 현대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아야 합니다. 칼빈의 개혁 정신은 오늘날의 교회

7.kingdom2025.com

 

 

히브리 '야레'의 뜻

구약성경은 히브리어로 기록되었습니다. 구약성경 이해하는데 히브리 단어의 뜻을 아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그중에서 하나님과 관계된 단어들의 의미를 아는 것은 더욱 중요합니다. 이번 포

7.kingdom2025.com

 

 

 

 

 

 

 

 

 

 

 

반응형